남고, 여고, 남녀공학 나누어져 있는 이유 궁금하죠?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youtu.be/EAYSTuvO2ZY 한국은 유교의 영향으로 생긴 남존여비 의식 때문에 일제강점기에는 남학교와 여학교가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남존여비란 남성은 존귀하고 여성은 비천하다는 뜻의 단어인데요. 지조와 절개를 중시하던 양반사회에선, 여성이 못된 짓을 당하거나 미수에 그쳤다 한들, 가문의 수치라 여겨 제명당하거나 집에서 쫓겨나기도 했습니다. 무슨 얘기냐면 미혼 여성이 강간을 당하면 본인은 물론 가족까지 분노하기는커녕 이렇게 생각했다고 하죠. 팔자조졌다고... 무슨 개소리인지는 모르겠으나 현재까지도 자녀를 가질 때 아들을 선호하는 남아선호사상이 이런 문화적인 습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죠. 아무튼. 1945년부터..
아니 스마트폰 투명 젤리케이스는 왜 항상 색이 누렇게 변하는 걸까요? 영상으로 더 알기 쉽게 만나보세요. youtu.be/2E217vx0zzg 그렇다고 케이스 없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자니 떨어트릴 위험도 있고, 다른 케이스를 사용하자니 젤리케이스가 가장 편하고, 그립감도 좋고.. 색만 누렇게 변하지 않는다면 참 좋은데 말이죠. 휴대폰을 아무리 깨끗하게 사용해도 어느 순간 누렇게 변해있는 젤리케이스 왜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바로 빛 때문인데요. 대부분의 투명 젤리케이스는 폴리우레탄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지는데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이라는 분자로부터 합성한 고분자 플라스틱입니다. 이렇게 합성 물질로 만들어진 폴리우레탄은 빛, 자외선에 의해 황변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자외선 에너지는 폴리우레..
요즘 안전속도 5030 정책으로 많이 시끄러운데요. 4월 17일부터 시행된 오공삼공 정책 운전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빠르게 알아보죠. 영상으로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www.youtube.com/watch?v=0EcjiuqDrVk 오공삼공 정책이란? 도심부의 제한속도를 기본 50키로미터, 주택가 도로 등 보행 위주 도로는 30키로미터로 제한 속도를 조정하는 정책입니다. 그럼 안전속도 5030 정책 왜 시행하는 걸까요? 우리나라는 차량 중심의 교통 문화로 이어져오면서 네 어쨌든 우리나라의 심각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그럼 속도를 고작 10키로 낮춘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기존의 제한속도인 차량 시속 60키로에서 보행자 충돌 시 사망할 확률은 85퍼센트 10키로가 줄어든 시속 50키로에..
운전중 과속카메라의 제한속도 보다 차량 계기판의 속도가 높아서 이거 찍힌것 같은데... 마음 졸이신적 다들 한번씩 있으시죠? 읽어 보기 귀찮으신 분들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과속카메라 단속 기준 www.youtube.com/watch?v=6UVFDpsC0wo 이제 마음 졸이는 일 없도록 과속카메라 단속기준 정리해드릴게요. 먼저 온라인에 돌아다니는 과속카메라 속설들이 있는데요. 첫번째 시속 이백키로가 넘어가면 과속카메라에 단속이 되지 않는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백키로의 빠른 속도로 달려도 단속이 됩니다. 현재 과속카메라는 삼백이십키 이하로 달리는 모든 차량을 단속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차선을 걸치고 주행하면 단속이 되지 않는다? 과거 과속카메라는 1차로만 단속이 가능했기에 차로를 걸쳐 주행하면 단속이..
이유있는 역대 역주행 노래 8곡 내용을 빠르게 보고 싶으신 분은 가장 아래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2017년 6월 발매된 윤종신 - 좋니 음원 발표 후 별 반응이 없었지만 유희열의 스케치북이라는 프로에 나온 윤종신 좋니를 라이브로 부른 뒤 2개월 만에 차트 역주행이 시작됩니다. 2013년 7월 발매된 김연자 - 아모르파티 아모르파티는 2017년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가사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뒤늦게 화제가 되고 큰 인기를 얻으며 발매 4년 만에 차트 역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유는? KBS 열린음악회 무대에서 김연자가 노래하는 영상을 엑소 팬들이 소셜미디어에 올리면서 역주행이 시작됩니다. 2013년 1월 발매된 포스트맨 - 신촌을 못가 역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신촌을 못 가는 음원 발표 20여개월 후인 20..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